본문 바로가기

논어태백9

논어, 몸 닦기에 힘쓰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몸 닦기에 힘쓰라'논어, 태백(이상적인 정치를 이루려면)' 몸을 움직일 때 난폭함과 거만함을 멀리하라. 얼굴빛을 바르게 할 때 믿음직하게 하라. 말할 때 속되고 도리에 벗어나는 말을 멀리하라. 증자가 병문안을 온 맹경자에게 사람은 죽기 전에 선한 말을 하기 마련이라며 함께 전한 말이다. 몸을 움직일 때 거칠게 하면 천박해 보인다. 아무리 재주가 뛰어나다 하더라도 거만한 태도를 보이면 미움받는다. 얼굴빛에서 믿음을 나타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비루하고 속된 말을 거침없이 내뱉으면 인격의 수준을 의심받는다.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하면서 고집을 부리면 사람들이 떠난다. 다스림의 근본은 먼저 자신의 몸가짐을 바르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출처] 살면서 꼭 한 번은 논어 ..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3. 9.
논어, 뛰어난 재주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인격이다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뛰어난 재주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인격이다'논어, 태백(이상적인 정치를 이루려면)' 어떤 이가 주공과 같은 아름다운 지혜와 재능을 가졌다고 하더라도 만일 그가 교만하고 인색하다면 그 나머지는 볼 가치가 없다. 주공은 고대 주나라를 창건한 핵심 인물이자, 공자의 고향 노나라의 시조로, 공자가 흠모했던 인물이다. 교만하다는 것은 기운이 가득 차고 자신감이 넘쳐, 다른 사람을 대할 때 자신의 우월감을 드러내는 것이다. 인색하다는 것은 기운이 부족하고 마음이 넉넉지 못해, 다른 사람을 대할 때 베풀지 못하고 가진것에 지나치게 아끼는 것이다. 교만한 사람은 인색하기 쉽고, 인색한 사람 또한 교만하기 쉽다. 공자는 아무리 재주가 뛰어나고 다른 장점이 많더라도 교만하고 인색하다면, 올..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3. 8.
논어, 자기의 일에 충실하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자기의 일에 충실하라'논어, 태백(이상적인 정치를 이루려면)'  그 자리에 있지 않다면, 그 자리에서 해야 할 일을 도모하지 말라. 남의 말을 하기는 참 쉽다. 그 자리에 있지 않으면서 '내가 그 자리에 있다면 이렇게 저렇게 했을 것이다'하고 떠들기는 쉽다. 하지만 막상 그 자리에 앉아 일을 해보면 옆에서 보는 것과는 천지 차이일 것이다. 누구나 자기의 일에 충실해야 한다.  다른 사람의 지위에 있어 본적도 없으면서 뒤에서 이러쿵저러쿵 떠드는 것은 소인배가 하는 행동이다. 실제로 그 일을 해보면 말로는 쉬웠던 일이 어느 것 하나 만만치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정을 제대로 모르는 남의 일에 이런 저런 평가를 하기 전에 자기의 일에 충실한 것이 낫다. [출처] 살면서 ..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3. 7.
논어, 단점을 상쇄할 만한 장점을 지녀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단점을 상쇄할 만한 장점을 지녀라'논어, 태백(이상적인 정치를 이루려면)' 거만하면서 솔직하지 않고, 미련하면서 성실하지 않고, 어리석으면서 미덥지 않은 사람은 나도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다. 단점이 없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그 단점을 상쇄할 만한 다른 장점이 있으면 그 사람과는 함께 할 수 있다. 거만한 사람이라면 솔직하기라도 해야 한다. 거만하지만 솔직함이 매력이 될 수 있다. 뒤에서 계략을 꾸미거나 다른 말은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미련하면 성실하기라도 해야 한다. 아는 것이 적고 지혜가 얕은데 게으르기까지 하다면 미련함을 벗어날 수 없다. 무능하고 어리석으면 믿음직하기라도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무리 작은 일이라도 맡길 수 없다. 자기의 단점을 명확하..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3. 6.
논어, 얇은 얼음 위를 걷듯 자신을 다스려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얇은 얼음 위를 걷듯 자신을 다스려라'논어, 태백(이상적인 정치를 이루려면)' 두려워하고 조심하여 깊은 못에  서 있는 듯하고, 얇은 얼음을 밟는 듯하라. 별이 든 증자가 제자들에게 자신의 손발을 보여줬다. 그는 평생 조심하면서 부모가 준 신체를 상하게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때 의 한 구절을 인용하여 제자들에게도 신체를 잘 보전하고 조심할것을 당부했다. 깊은 연못가에 서 있다 자칫 실수해 물에 빠지면 낭패다. 얇은 얼음판을 밟을 때는 고양이처럼 조심조심 걸음을 떼야 한다. 그만큼 신체를 잘 보전하라는 것이다. 하지만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은 신체를 상하게 하지 않는 것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 잘못된 행동을 해서 부모의 이름을 욕되게 하는 것만큼 후회되는 일이 없을 것이..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3. 5.
논어, 뜻을 크게 가져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뜻을 크게 가져라'논어, 태백(이상적인 정치를 이루려면)' 선비는 뜻이 크고 의지가 강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임무가 무겁고 그 길이 멀기 때문이다. 증자의 말이다. '선비'는 인간의 도리를 공부하는 자를 말한다. 선비는 인(仁)을 이루고 그것을 힘써 행하면서 널리 전해야 하기 때문에 그 임무가 무겁다. 그것이 죽기 전에 끝날지조차 알 수 없기에 가야할 길이 멀다는 것이다. 뜻만 거창하고 정작 그것을 헤내려는 의지가 강하지 않다면 실속이 없다. 의지만 엄청나게 강하고 뜻이 크지 않다면 궁극적인 경지에 이르지 못한다. 그래서 뜻을 크게 품고, 강한 의지를 다지는 것 모두가 중요하다. 율곡 이이는 옛 경전을 공부할 때 자신도 성인의 경지에 이르겠다는 심정으로 했다. 자신의 역..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3. 3.
논어, 배우지 못함을 두려워하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배우지 못함을 두려워하라'논어, 태백(이상적인 정치를 이루려면)' 못 미치지 않을까 배움에 임하고 오히려 그 배운 것을 혹 잃을까 두려워해야 한다. 아무것도 배움이 없는 일상, 깨달음이 없는 삶, 한 걸음씩 앞으로 성장해 나가지 못하는 인생은 의미가 없다. 인간은 육체의 보존만을 위해 세상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항상 의미를 발견하고 추구해가는 것이 인간이다. 배울 때는 따라잡지 못할까, 놓칠까 전전긍긍하며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나서도 혹시 그간 배운 것을 잃지는 않을까 두려워해야 한다. 배움을 멈추는 순간부터 인간은 도태된다. 인간에게 배움은 생존의 문제다. 인간은 배우지 못한다는 것에 대해 두려워해야만 하는 것이다. [출처] 살면서 꼭 한 번은 논..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3. 1.
논어, 너그럽게 포용하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너그럽게 포용하라'논어, 태백(이상적인 정치를 이루려면)' 용기를 좋아하고 가난함을 싫어하면 분란이 일어난다. 인(仁)하지 않은 사람을 너무 심하게 미워해도 분란이 일어난다. 가난한 사람이 자신의 분수를 모르고 지나치게 그 처지를 비관하는 동시에 폭력에 의지하면, 분란을 일으킬 수 있다. 자신의 문제점을 돌아보고 그 처지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고,  모든 잘못을 외부로 돌리는 마음을 가지면 어지러움이 일어날 수 있다. 인(仁)하지 않은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의 현재 수준을 인정하고 그대로 포용해주는 것이 순리다. 그것을 지나치게 미워하고 버릇을 고치려고 하면 다툼이 일어난다. 어떤 상황에서도 극단으로 치우치지 말고 너그럽게 포용할 줄 알아야 한다. [출처] 살면서 ..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28.
논어, 겸손하고 또 겸손하라 힘이 되는 짧고 좋은 글귀-인생명언겸손하고 또 겸손하라'논어, 태백(이상적인 정치를 이루려면)' 뛰어나더라도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 물어라. 아는 것이 많아도 부족한 사람에게 물어라. 있으면서도 없는 듯하라. 학문이 충만하더라도 비어 있는 듯하라. 남이 기분을 상하게 하더라도 따지지 마라. 증자가 자신의 친구 안연의 덕을 생각하면서 한 말이다. 겸손함은 뛰어난 재능과 학문을 더욱 빛나게 한다. 성숙한 사람일수록 누구에게든 묻는 것ㅇ르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아는 것이 많아도 자만하지 않고 항상 배우려는 자세를 가진다. 이미 알고 있다는, 모든 면이 면이 부족함 없이 가득 차 있음을 자랑하려는 마음을 들키면, 질투와 미움의 대상이 된다. 남이 나를 침범해도 그것을 따지지 않는 것은 '나'라는 껍데기를 내려놓.. ▷ 마음 힐링/▽ 힘이 되는 좋은 글귀[인생명언] 2025. 2. 27.